인재개발18 참담한 실패를 가져오는 진정한 惡이란....!! 사진: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 피고인;Goering, Hess,von Ribbentrop,and Keitel 앞줄 왼쪽부터, (Source: Wikipedia.com) 옛 말에 이런 말들이 있습니다. 1. 천라지망(天羅地網): “하늘의 그물은 성기지만 빠져나갈 구멍은 없다” 2. 순천자( 順天者)는 흥(興)하고, 역천자(逆天者)는 망(亡)한다 하지만, 하늘의 뜻을 바르게 알기도 어렵거니와, 그 뜻을 올바르게 따라간다는 것은 더더욱 어려울 수 밖에요. Google 이라는 회사의 Motto가 "Don't be Evil-악마는 되지말자" 라고 합니다. 하늘의 뜻을 바르게 행하기 어렵다면, 최소한 나쁜 놈은 되지 말자는 뜻이지요. 그렇다면, 진정한 惡이란 무엇일까요...?? 어떤 것이 어두움으로 사람을 이끌어 .. 2008. 12. 26. [그림] 혼자 할 수 없다면..??? What can one person do? Answer: Join a group! 혼자 할 수 없다면, 남들과 함께 하세요.... 2008. 11. 10. [들어가는 말] 통일 첫세대 어떻게 기를 것인가? 평화재향군인회 대표이신 표명렬님께서 오바마 대통령의 당선에 즈음하여 아주 의미있는 의제를 던지셨습니다. "통일, 갑자기 도둑처럼 올지 모른다" (참조: http://www.dailyseop.com/section/article_view.aspx?at_id=92479) 그렇습니다. 예상치도 못하게 갑자기 전혀 준비없는 우리에게 통일이라고 하는 커다란 난제가 "툭" 하고 곧 던져질지 모르겠습니다. 예전에 일부러 독일 그것도 동독 지역이었던 라이프치히에 있는 전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Business School 인 Handelshochschule Leipzig 라는 곳에 가서 MBA를 공부했었는데, 통일 후 약 10년이 지난 후 구 동독지역이 어떻게 변화하고 어떤 식으로 사람들이 삶을 살아가며, 특히나 젊은 세대.. 2008. 11. 8. 리더에게 있어서 우둔함의 중요성 (Leadership from Stupidity) 도가(道家)의 말 중에 대교약졸, 대성약범, 대현약우(大巧若拙, 大聖若凡, 大賢若愚)이란 말이 있습니다. 쉽게 풀어 쓰자면, 기교가 극에 달하면 졸박하다, 큰 성인은 평범해 보인다, 크게 현명한 사람은 어리석게 보인다는 것입니다. (Source: http://www.knoum.com/kboard/view.php?id=newsterm&no=210) 최근 과학기술인연합 (Scieng.org)에서 과학기술인 출신 리더가 필요하냐 아니냐 하는 논쟁이 있었습니다. (http://www.scieng.net/zero/view.php?id=now&no=14892) 제 주장은 많은 과학기술인 출신이 다양한 분야에 여러형태의 실질적 리더가 되어야 하며 그 이유로 두가지 논거를 제시 하였습니다. 첫째는, 과학적 합리성을 바.. 2008. 10. 19. 오클라호마 대학 임두헌 교수님과의 인터뷰 (Interview with Prof. Dr. Lim at University of Oklahoma) Interview with Prominent Scholar (Prof. Dr. Lim, Doo-Hum) Adult & Higher Education Prof. Dr. Lim, Doo-Hun, Adult & Higher Education at University of Oklahoma. Date: Sept. 26 2008 Time: 04:00 PM ~ 04:40 PM Place: Teleconference (Office of Dr. Lim) Background On fall 2008 semester, the class of HRE 580 Disciplined Inquiry in Human Resource Education (lectured by Dr. Andrea Elligner) requires an in.. 2008. 10. 1. Good Questions for Case Study..!! Five Levels of Questions Needed in Case Study and Program Evaluation 1. Topical Questions - Upgrading the curriculum? - The cost of accreditation - Staff development - Advocacy for the client - The inadequacy of measurement 2. Basic Research Questions - What is the nature of community support for child-oriented strategies? - How can reading be taught more effectively? - Are the concepts of "plur.. 2008. 9. 12. Book, Disrupting Class: How Disruptive Innovation Will Change the Way the World Learns (2008) Clayton M. Christensen is the Robert and Jane Cizik Professor of Business Administration at Harvard Business School. Michael C. Clayton, a Harvard Business School Professor, published a book "Disrupting Class: How Disruptive Innovation Will Change the Way the World Learns (Hardcover)" He has a big name at "Innovation Research" and renowned for his remarkable concept of "Disruptive Innovation" Dr.. 2008. 8. 26. “Pali-Pali”: Passion or Hastiness (Fast Improvement of Biological Science in Korea) Reaction Paper #2 Starting a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in Korea (KAIST Improvement of Biological Science in Korea) Mar. 06 2008 “Pali-Pali”: Passion or Hastiness (Fast Improvement of Biological Science in Korea) Social and cultural factors, such as the aggressive mentality of the Korean people, high awareness of the challenges of globalization and political as well as historical contexts pla.. 2008. 8. 14. Does China Need Democratizing HRD to Improve Innovation Capability? Reaction Paper #1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in China: The Question of “Innovation” Langdon Winner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Jan 24 2008 Summary of Workshop l China is going to get own capacity of innovation l China’s new vision: 1) Endogenous innovation, 2) Harmonious development l Political constrains in Chinese schools (Curriculum and contents are restricted) l RPI’s “Think out o.. 2008. 8. 14. 과학기술계 리더 인터뷰 #2, 공공기술연구회 이사장 과학기술계 리더 인터뷰 #2, 공공기술연구회 이사장 최영락 박사님 (2008년 4월 6일 at UIUC) 1. 한국과 일본의 과학기술정책비교 - 한국과 일본의 과학기술혁신 정책은 많은 부분 비슷한 것은 사실입니다만, 한국의 경우 사회적 환경과 산업 발전 행태가 일본과 유사했던 관계로 그리 된 것이고, 또한 현재까지도 전세계적으로 한국의 실정과 가장 잘 맞는 Best practice 모델을 적용하려다 보니 일본과 유사한 경우가 많습니다. - 일례로 한국의 경우 미국과 같은 과학기술정책을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데, 미국과는 달리 제한된 자원/시장/인력/기술수준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선택과 집중을 통해 우리가 잘할 수 있는 분야를 육성하는 방식을 따르게 된 것입니다. - 타이완의 경우 이러한 선택과 집중.. 2008. 8. 14. 뮤지컬 캣츠, 오페라의 유령 안무가 '질리안 린' 이야기 열등생에서 세계 최고의 안무가로... 뮤지컬 캣츠와 오페라의 유령은 웬만한 사람들이라면 한 번씩 이름이라도 들어봤을 정도로 유명한 뮤지컬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작품들이 앤드류 로이드 웨버가 작곡한 것이라는 것도 알테구요. 하지만, 이 작품들이 탄생하는데 또 한 명의 걸출한 리더가 있었으니 안무가이자 연출가였던 질리안 린 (Gillian Lynne) 입니다. 1926년 영국에서 태어난 Gill 은 어릴적 꽤나 공부를 못했던 열등한 학생이었습니다. 오죽 했으면 그녀의 어머니가 학교에서 너무 산만하고 집중하지 못하여 공부를 지지리도 못했던 그녀를 뭔가 이상있는게 아닌가 하고 병원에 데리고 가서 검사를 할 정도였으니 말입니다. Gill에 대한 검사를 마치고 의사와 어머니가 심각하게 결과에 대해 의.. 2008. 8. 5. [펌] 어느 물리학자가 보는 이공계 위기의 본질 [펌] 어느 물리학자가 보는 이공계 위기의 본질 /가이우스 [출처가 아주 명확하지는 않습니다만, 그나마 한겨례 신문에 올라와 있는 것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사진과 도표등은 제가 임의로 삽입하였습니다..] http://bbs2.hani.co.kr/Board/ns_eng/Contents.asp?STable=NSP_005016000&RNo=2826&Search=&Text=&GoToPage=1&Idx=6940&Sorting=1 2004-02-06 오후 2:03:28 “이공계 위기”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제언" 먼저 제 소개를 해야겠군요. 저는 1971년 생으로, 1990년에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 입학했습니다. 학부 5년 다니는 동안은 열심히 데모만 하다가 동 대학원에 진학하여 지난 2001년 박사 학위를 받.. 2008. 8. 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