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THING FROM THE CENTER OF THE US MASTER JEONG-HWAN CHOI – KOUKSUNDO
source: http://cuasiantimes.wordpress.com/2012/09/21/obama/
There is a saying: “Losing money is to lose little, losing reputation is to lose much. But in losing health, one loses everything”.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belief that money can fix and buy everything is rampant, people all too often realize that money isn’t the panacea only after they have cost their health in their struggles to obtain money. As there’s even a saying “Guard your health while you are healthy”, health has been a crucial, and timeless topic to humans. As such, in order to guard our precious health, people have often utilized many means such as exercise, mental training, food, or dietary supplements. As people’s physique or personality differs from one another, everyone’s secret to good health is probably different. This month, we meet Master Jeonghwan Choi (41), who is working on his PhD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hear about guarding our health through Koursundo, and the ‘Leadership’ that he is studying with interest.
Photo: Kouksundo Presentation at Korean Talent Show (UIUC), April, 2012
Our newspaper has readers of various nationalities, so there may be quite a few who have heard the name Kouksundo for the first time. First of all, is Kouksundo a form of martial art like Taekkyeon or Taekwondo? Or is it more like yoga?
Kouksundo (Sundo, Bark-Dol-Beop, Chung-Gak-Do) is a holistic self-development practice system which aims to develop the ultimate physical-strength, the ultimate mental-power, and the ultimate spiritual-enlightenment.
According to Chung San Guh Sa (Chung San), who came down from the mountains of Korea to spread Kouk Sun Do in 1967, Kouk Sun Do was originally developed over 9700 years or so ago in the present-day Korea. At the time both the martial and the healing arts were taught, until a decision was made to promote only the healing aspect of the arts.
The core feature of Kouksundo practice is the “deep abdominal energy center breathing” known as Danjeon (Dol-dan, lower part of the abdomen) Breathing (or hypogastric breathing) which enables the practitioners to breathe in the universal life energy, Ki, into the body. Through practice, the practitioners are able to gradually accumulate the Ki in the Danjeon, and learn how to circulate the Ki throughout the 365 Ki channels in the body. This is achieved through Danjeon-Haenggong, which unifies the three Danjeons of our body: Jung (lower Danjeon), Ki (upper Danjeon), and Shin (middle Danjeon). Danjeon-Haenggong is abdominal breathing with special postures and meditation resulting in the simultaneous training of the body, mind, and spirit. It is the way to become the unity of you and me, of heaven, earth and man, and of all things.
It seems then Kouksundo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breathing. Why is breathing so important?
Respiration, specifically, has a relationship with the health of the mind and the body. First, there are expressions that the mind is fleeting, scattered, and gathers. When one calmly concentrates and breathes soundly, the mind becomes stable and gathered, letting it focus on what needs to be done. Second, when one breathes deeply and soundly, especially with the Danjeon, it aids in smooth circulation of vitality through powerful contraction and expansion effect. As a result, it can help improve and prevent many diseases that derive from circulation problems.
Where does Danjeon refer to? How much training is needed to enable breathing with Danjeon?
The Danjeon in Kouksundo refers to the entire area below the bellybutton, and to breathe with Danjeon is to utilize the hypogastric area to practice deep breath. Danjeon breathing is a way that everyone breathed when they were infants, so it isn’t anything special. However, as we age we forget that we had breathed deeply down to our lower belly, and gradually breathe with our upper belly, then our chest. To be able to breathe deep with our lower abdomen as we have in our infancy, it takes about 3-6 months of focused training, and after about 3 years, we seem to be able to feel the vibrancy of the vitality, and the smoothness of its flow in our body.
Mr. Choi, you are a master and wear a black belt. How many stages are there before becoming a master, and what do each stages signify?
In Kouksundo there are three main stages, and then 3 sub stages in each stages, totaling nine stages. These stages ar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what is Win-win in oriental philosophy. Put another way, it means going against what has been created to return to the original place. The uniform differs in each stage as well, and they reflect Mu-geuk, Huang-geuk, and Tae-geuk –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rder that everything was made in – and the yearning of Kouksundo training to return to the origin. In order to become a master of Kouksundo, one first completes the first major stage, the stages of Chung-gak-do, and after evaluation of fixed leadership education and experience, one obtains the certification of a Master from the Kouksundo federation.
Getting to the final stage of Kouksundo probably means becoming an ascetic. What would being an ascetic mean?
My training has not reached the profundity to comprehend the stage of being an ascetic. However, if there’s something I’ve felt from watching practitioners who have spent 30-40 training in Kouksundo, what is certain is that as the depth of training grows, there is a growth of healthy body, serene mind, acuity in vision, hearing, and intelligence, and vitality in everyday life. For example, a Master in Yeosu is well past 80 years of age, but I cannot keep up strength or his intelligence and liveliness. Furthermore, every time I seek his guidance and open up my worries and troubles to him, he provides clear answers and shares his wisdom. In my opinion, perhaps this ‘averageness’ is more appropriate of an ascetic than the conjuring, weather calling sort.
You’ve published “Communional Leadership” in 2009, and it’s been said that you’re studying on leaders and leadership. How can the leaders required in the secular world connect with the master of Kouksundo? And what kind of an individual should a leader of a country become?
My teacher, monk Kyung-taek Lim, often says “the leaders of the future must be ones who can breathe for at least a minute”. Breaths that are a minute long means that they aren’t forced, but rather, comfortable, natural breathing that span a minute per breath. With average perseverance, it is difficult to scale the 1 minute mark. This is because there are primal ‘greeds’ such as basic instincts, selfishness, and obsession for life. Only after overcoming these most basic greeds is the minute-long breaths possible, but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ne must have the mindset of great filial peity and try to emulate the heavens, and must take the stance of giving oneself up. This essentially means that a person who gives themselves up to prioritizes public interests of their group, and further, all people and living things, should become the leader of the society. After overcoming the 1 minute mark, the conflict between logic and emotion disappears, and the sequence and the apt moves for the task at hand become apparent.
With both the US and Korea facing election, it is my hope an individual, as mentioned above, who possess the ‘mindset prioritizing the interests of the public, the desire to give oneself up to save everyone and all living things, one who can fully utilize their wisdom and creativity, warm heart and healthy vitality to accomplish the above way,’ becomes a leader.
I’m curious, what is the future that you dream of?
I was just an engineer, but through Kouksundo training, I have found a lifetime goal of leadership development, got to work on my MBA, and after working as management consultant, I’ve come to study Human Resource Development here at the UIUC. My goal now is to develop leaders that as Kouksundo speak of,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surpass 1 minute breathing. For this purpose, the leadership center (http://leadershipcenter.tistory.com) was formed, and literatures are being shared. In the days to come after graduation, I hope to contribute in training leaders that the world currently needs, throug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programs that will help promote true leadership, and specifically, put my efforts into cultivating the first generation prepared for the quickly approaching Korean Unification.
Kouksundo training: Every Friday 5: 30PM at the Illini Union.
Contact: jeonghwan.choi@gmail.com
Marie Hong/Editor in Chief
[Korean]
미국의 중심에서 숨쉬다- 국선도 사범 최정환씨
원문출처: CU Korean Times
http://cuasiantimes.wordpress.com/2012/09/21/obama/
“돈을 잃으면 조금 잃는 것이요, 명예를 잃으면 많이 잃는 것이며, 건강을 잃으면 전부를 잃는 것이다.”라는 말이 있다. 돈이면 무엇이든 얻을 수 있고 해결 할 수 있다는 사고가 팽배한 현대 사회에서 만사형통 일 것 같은 돈을 얻기위해 허덕이다 건강을 잃고서야 돈이 만병통치가 아님을 깨닫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건강은 건강할 때 지키라”는 말도 있듯이 건강할 때조차 건강은 생명을 지닌 모든 인간에게 시대를 막론하고 가장 중요한 화두중 하나였다. 사람들은 이 중요한 건강을 지키기 위해 운동이나 정신수련, 음식이나 건강보조 식품등 나름 여러가지 방법을 동원한다. 사람의 체질이나 성격이 다 다르듯 자기에게 맞는 건강 비법도 다 다를 것이다. 이번 달에는 국선도 사범이며 인적자원개발학과의 박사과정인 최정환씨를 만나 국선도를 통해 건강을 지키는 방법과 그가 관심있게 연구하는 ‘리더쉽’에 대해 들어본다.
저희 신문은 독자층의 국적이 다양해서 ‘국선도’라는 이름을 처음 들어보시는 분도 꽤 계실 것 같아요. 우선 국선도는 태권도나 검도같은 무도인가요? 아니면 요가같은 심신 수련법이라고 할 수 있나요?
국선도는 우리민족의 태동에서부터 비롯되어 9,700여년을 이어온 한국 고유의 심신 수양법입니다. 국선도 수련의 목적은 극치적 체력, 극치적 정신력, 극치적 도덕력 배양을 통해 우리의 생명력을 충일케 함은 물론 타인과 사회에 도움이 되는 참된 인간이 되고자 하는 통합적 자기계발법입니다.
국선도는 한민족 역사에서 밝받는 법, 밝돌법, 선도, 낭가 사상, 도인법, 조식법 등 다양한 이름으로 전래되어왔고, 천지화랑, 조의선인, 싸울아비, 화랑도, 재가화상과 같은 인재양성법의 근간이기도 합니다. 1967년 청산선사에 의해 일반인들에게 공개, 보급되기 시작한 이후에는 단전호흡이라는 말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비록 국선도에 외공이라 하여 무술적 요소가 있고, 국선도 외공이 현대의 특공무술 등의 기본 뼈대가 되기는 했습니다만, 본질적으로는 고요한 몸 움직임과 단전호흡을 통해 내공, 즉 충실한 육제적, 정신적, 도덕적 ‘힘’ 을 기르는 것이 먼저입니다. 충실한 내공이 있을 때에만, 국선도 외공을 실현하게 되는 것이므로 내공수련이 주가 되는 것입니다.
또한 인도나 동남아시아와 같이 더운 지방에서 기인한 요가처럼 날숨을 강조하거나, 또는 추운 지방에서 발달한 기공처럼 들숨을 강조하는 것과는 달리 국선도는 들숨과 날숨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 ‘힘’ 을 배양하여 전신에 골고루 순환할 수 있도록 각각의 수련단계에 따라 쉬운 것 부터 어려운 것 까지 깊은 동양 철학의 바탕을 가진 다양한 동작을 취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국선도는 호흡을 가장 중요시 하는 것 같은데요. 호흡이 왜 그렇게 중요한가요?
사람은 밥을 안먹어도 한 달은 삽니다. 물을 안마시면 일주일 정도 버팁니다. 그러나 숨을 안쉬고는 단 3~4분을 버티기 어렵습니다. 이만큼 숨쉬는 것은 우리 생명과 직결되어 있음에도 숨 쉬는 방법은 잘 모르는 것 같습니다. 숨 쉬는 것은 구체적으로 마음과 육체의 건강과 관련이 있습니다. 첫째, 마음이 들뜨고, 흩어지고, 맺힌다는 표현이 있는데, 고요하고 차분하면서도 한 곳에 몰입하여 충실한 호흡을 하게되면 마음 또한 안정되고 모아져 스스로 하고자 하는 일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둘째, 아랫배로 깊고 충실한 호흡을 하게되면 강한 수축-팽창작용을 통해 기혈순환을 원할히 하도록 도움을 주게됩니다. 따라서 혈액순환장애로 부터 오는 다양한 질병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단전은 어디를 뜻하나요? 어느정도 훈련으로 단전호흡이 가능한가요?
국선도에서 말하는 단전은 그림과 같이 배꼽 아래 아랫배 전체를 말합니다. 따라서 단전호흡이란 배꼽아래 아랫배로 깊은 숨쉬기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수련이 깊어지면서 점차 단전 밑바닥 부터 물풍선에 물이 차오르듯 묵직하게 ‘힘 –기운’ 이 차게되고 점차 기운이 농축하게 되면 서서히 곡골-회음-장강 (배꼽아래 – 항문– 꼬리뼈) 방향으로 돌아가게 되고 아랫배 가운데 부분에 중심이 형성되게 됩니다. 이 부분을 국선도에서는 ‘돌단자리 (돌아가고 돌아가는 단단한 중심자리)’라 하고 단전의 중심자리라 합니다.
단전호흡이란 것이 모든 사람이 아기였을 때 숨쉬던 방식이므로 특별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아랫배 깊숙이 숨쉬던 것을 잊어버리고 점차 가슴으로 숨쉬게 된 것인데, 이를 아기였을때 처럼 고요하고, 차분하고, 깊은 숨쉬기로 되돌리는 데는 대략 3~6개월 집중적으로 수련하면 되고, 약 3년여 정도를 하게 되면 기운이 생동하고 온몸에 원활하게 흐르게 되는 것을 느끼는 것 같습니다.
최정환씨는 사범이시고 검은 띠를 하고 계시는데 사범이 되려면 몇단계를 거쳐야 하나요? 가령 태권도의 띠는 일종의 자기 방어 능력나 공격능력을 말하는 것 같은데 국선도에서의 단계는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요?
국선도에는 크게 세단계 (정각도, 통기법, 선도법) 보다 정확하게는 각각의 단계에 세가지씩 아홉단계가 있습니다. 첫번째 단계인 정각도 단계는 중기단법, 건곤단법, 원기단법이 있는데 각각의 단법에 따라 흰띠, 노란띠, 빨간띠, 파란띠, 그리고 정각도 단계를 모두 마치게 되면 검은띠를 매게됩니다. 이 순서는 동양철학 말하는 상생 (수-목-화-토-금)의 역방향입니다. 쉽게 말해 생겨난 것을 거슬러 본래 자리로 돌아간다는 의미입니다. 국선도에서는 띠 뿐만 아니라 도복 또한 단계에 따라 달라지는데, 우주의 질서를 말하는 태극을 따서 정각도 단계에서는 푸른 바탕에 빨간 깃을 가진 도복을 입고, 황극을 본따 두번째 단계인 통기법에서는 노란색 도복을 입게 됩니다. 이후 선도법 단계에서는무극을 표현하는 흰색 도복을 입게됩니다. 이 또한 무극-황극-태극의 순서대로 만물이 만들어졌다는 역방향으로 본래 자리로 돌아가고자 하는 국선도 수련의 염원이 담겨져 있습니다.
국선도 사범이 되려면 첫번째 큰 단계인 정각도 단계 (중기, 건곤, 원기단법)을 모두 마치고 소정의 지도자 교육과 경험을 평가하여 국선도 연맹에서 사범 자격을 취득하게 됩니다. 짧게는 5년 정도 걸립니다만, 제 경우엔 7년이 걸렸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위로 6단계가 더 남았으니 조급한 마음은 버리고 평생한다는 생각으로 수련을 해나가고 있을 뿐입니다.
국선도의 최종 단계에 이르면 도인이 되는 것 일텐데요. 이 도인의 의미는 육체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 모두를 의미하는 것이겠지요?
제 자신 수련이 깊지않아 도인이 어떤 경지인지 잘 모릅니다. 하지만, 국선도 수련을 30~40년간 꾸준히 하신 분들을 보면서 느낀 것이 있다면 국선도 수련이 깊어질 수록 건강한 몸과 안정된 마음, 그리고 귀밝고 눈밝은 총명함이 길러지고 활기찬 생활을 한다는 점은 확실합니다. 예를 들어 여수의 한 국선도 지도자께서는 연세가 80을 훌쩍 넘으셨음에도 불구하고 제가 근력은 물론이고, 그 분의 총명하고 활기찬 것을 따라가지 못합니다. 더불어 이 분께 제 걱정, 근심거리를 털어놓을 때 마다 언제나 명쾌하게 답을 내주시고 많은 지혜를 나누어 주시곤 합니다. 제 생각에는 이런 평범함이 호풍환우하거나 신기한 도술을 부리는 것보다 오히려 참 도인의 모습이 아닐까 합니다.
2009년 “교감의 리더십”이란 책도 내시고 ‘리더십’이나 ‘리더’에대해 공부하고 계신줄 아는데요. 세속에서 요구되는 리더와 국선도의 도인은 어떤 점에서 통할 수 있을까요?
제 국선도 스승님이신 임경택 법사님께서 “앞으로의 지도자는 최소한 1분대 호흡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말씀을 하시곤 합니다. 1분대 호흡이란 들이쉬고 내쉬는 한 호흡이 억지로가 아닌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1분을 꾸준히 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사람이 호흡 수련을 하게되면 대략 40~50초 호흡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할 수 있게됩니다. 그러나 보통의 근기가 아니고서는 1분의 벽을 넘어서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자기의 원초적 본능, 이기심, 생명에 대한 집착 이런 근원적 ‘욕심’ 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욕심마저 넘어서야 1분대 호흡이 가능한데 이런 한계를 넘어서려면 하늘을 본받으려는 大孝之心 (대효지심)을 갖고 자기를 버리는 입장에 서야합니다. 자기를 버리고 자신이 속한 공동체, 더 나아가 전 인류와 모든 생명체를 살리고자 하는 공익을 우선하는 사람이 사회를 이끌어가는 리더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1분 벽을 넘게 되면 사고와 감정의 갈등이 없어지고 어떤 일을 대할 때 그 일의 맥점과 순서가 가지런하게 보입니다. 그래서 지혜와 창의력이 생기는 것인바, 이러한 분들이 나 뿐아니라 다른 이도 살리고자 하는 크게 착한 마음을 바탕으로 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도록 한다면 좀 더 나은 사회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국이나 한국에서 곧 대선을 앞두고 있는데, 단지 국선도 수련이나 호흡수련을 하는 분이 아니라 위에서 말한 것 처럼 1분대 호흡을 넘어서면서 나타나는 보편적 특징인 ‘공익을 우선시 하는 마음, 나와 남 그리고 더 나아가 뭇 생명을 살리고자 하는 마음, 이를 위해 따뜻한 마음과 건강한 생명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지혜와 창의력을 맘껏 활용하여 위와 같은 뜻을 실현해 낼 수 있는 분’이 리더가 되기를 바랍니다.
최정환씨가 꿈꾸는 미래의 최정환씨는 어떤 분인지 궁금합니다.
평범한 엔지니어였던 제가 국선도 수련을 통해 리더십개발이라는 일생의 주제를 가지게 되었고, MBA도 하고, 많은 나라에서 경영 컨설턴트로 활동하다가 이곳 UIUC에서 인재개발 (Human Resource Development) 학과에서 공부를 하게되었는데, 앞으로 제 목표는 국선도에서 말하는 1분대 호흡을 넘어서는 특징을 가진 참된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통합리더십센터 (http://leadershipcenter.tistory.com) 를 만들고 많은 글들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졸업 후 참된 리더십 개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해 지금 세계가 필요로 하는 리더를 육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특히 곧 다가올 한국 통일을 대비하기 위한 통일 첫세대를 기르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자 합니다.
최정환씨가 꿈꾸는 그런 분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편집장 홍마리
'Story tell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story of Phyllis Hughes - A local artist at Urbana, IL (0) | 2013.03.03 |
---|---|
MOTHER'S DEADLIES COOKIE BAR (from Kate Shoemaker - Quaker) (0) | 2013.02.08 |
Kouksundo Performance at a Newspaper (April 07, 2012) (0) | 2012.04.09 |
선식가루로 초간단 건강 와플 만들기! (0) | 2012.03.26 |
샴페인 어바나 지역 탐방 (1) - 샴페인 다운타운: Local Shopping at Champaign DownTown (0) | 2012.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