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이라는 유령이 아니더라도, 학생들이 대학에서 진정한 배움을 경험하고 성숙한 자기 발전을 이루도록 하려면 지금의 대학 교육 패러다임은 바뀌어야 한다. 그 성공 열쇠는 권한과 책임을 가진 교수들에게 쥐여져 있다." 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http://www.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1818
그러나, 이게 왜 교수님들만의 책임이죠?
오히려, 대학 졸업생들을 직접 채용하고 수용하는 기업과 사회의 책임이 더 큰 것 아닌가요?
4차 산업혁명이란 것에 대한 기업과 사회의 명확한 정의도 없이, "이러저러한 사람을 채용하고 싶소"라고 요구하면 대학이 그런 인재상에 맞는 직원을 교육하는 곳도 아닌데, 그걸 왜 대학, 특히 교수님들께 요구할까요?
물론 일부 교수님들이 문제가 없단 소리는 아닙니다. 하지만, 일의 선, 후를 따져보면 기업과 사회의 요구에 따라 대학도 그에 발맞추어 변화를 하는거지, 대학교육이 바뀌어서 사회가 변하는 건 아니잖습니까?
융합교육이네, 녹색성장이네, 창조경제네, 4차 산업혁명이네 하는 실체없는 유행에 흔들리지 않는 대학교육 본연의 "인류보편의 문제에 대해 질문할 줄 알고,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지식인 양성"이라는 사명 (Mission)에 더욱 충실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이에 대한 논의는 제 이전 글들을 참조 바랍니다.
4차 산업혁명을 학교 교육을 통해 대비한다고? 천만의 말씀! 먼저 상법과 회계원칙부터 바로세우고 직원부터 교육해야...
http://leadershipcenter.tistory.com/432
학교교육보다, 먼저 직장교육 (Workplace Education) 부터 혁신하자.
[반론] 대학교육보다 기업교육이 더 문제다.
직원교육은 기업에서 하시면 됩니다.
평생교육은 국가와 사회가 주도하시면 됩니다.
대학교육은 대학 공동체에 맡겨두시면 어떨까요?
직원교육과 평생교육까지 대학에 떠넘기는 건 기업과 사회의 책임전가일 뿐이라 생각합니다. 기업은 직원교육을, 사회는 평생교육에 대한 책임을 먼저 다하고 난 후, 대학교육에 대한 비판이나 건설적 제언을 하는 것이 순서가 맞습니다.
2018년 5월 12일
최정환 (Jeonghwan Choi), PhD, MBA, ME
Assistant Professor,
Kean University (Wenzhou) / College of Business & Public Management
'Meditation on Korean Leadership > 2.Leader to Lead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한국판 뉴딜의 두가지 심각한 결함 및 개선모델! (0) | 2020.07.16 |
---|---|
위기를 기회로! 그리고 그 너머... (2019년 7월 25일,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인터뷰를 보고) (0) | 2019.07.25 |
4차 산업혁명을 학교 교육을 통해 대비한다고? 먼저 상법과 회계원칙부터 바로세우고 직원부터 교육해야... (0) | 2017.04.03 |
민주적 문제해결의 원칙 - 저항의 의무 (Obligation to Dissent) (0) | 2017.01.10 |
학교교육보다, 먼저 직장교육 (Workplace Education) 부터 혁신하자. (0) | 2016.12.26 |
댓글